목차
1.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2. 청년도약계좌 해택
3. 청년도약계좌 2025년 변경사항
3-1. 매칭한도 확대
3-2. 중도해지조건 완화
4. 가입방법 및 절차
"청년도약계좌"은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상품으로 매달 70만원씩 납입 시, 최대 5000만원을 지급하는 아직 미가입인 청년이라면 꼭 가입해야하는 상품입니다.
1.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1) 연령
- 만 19 ~ 34세 (병역기간 가산: 군 복무시 해당 기간만큼 연장)
2) 소득
- 개인소득 - 연 7,500만원 이하 / 종합소득 - 연 6,300만원 이하
- 가구소득 -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1인가구 월 598만원, 2인가구 월 983만원 이하)
기준중위소득 | 1인 | 2인 | 4인 | 6인 |
100% | 2,392,013 | 3,932,658 | 6,097,773 | 8,064,805 |
250% | 5,980,032 | 9,831,645 | 15,244,432 | 20,162,012 |
청년도약계좌는 연봉 7,500 이하의 청년(만 19~34세)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. 보다 자세한 가입대상 조건은 아래 "서민금융진흥원"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.
2. 청년도약계좌 해택
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시에 매월 최대 6%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해택을 제공합니다.
개인 소득 구간에 따라 지급하는 정부 기여금이 상이합니다. 예를 들어 연봉 3,000 만원의 직장인의 경우 월 40만원씩 입금시 4.6%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, 70만원씩 입금 시 400,000 * 0.046 + 300,000 * 0.03 = 29,000원 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연봉 6,300 ~ 7,500만원의 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도 이자에 대한 비과세 해택을 받을 수 있어 일반 적금보다 유리한 상품입니다.
3. 청년도약계좌 2025년 변경사항
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확대로 그 해택이 커졌습니다. 기존에 가입을 망설이는 원인이었던 중도 해지에 대한 부분도 크게 완화 되었습니다.
1) 매칭한도 확대
기존에는 매칭구간 초과분에 대해서는 기여금을 지급하지 않았으나, 초과분에대해 3.0%로 기여금을 지급하게 되었습니다.
(2,400만원 이하 직장인의 경우, 기존에는 40만원에 대해서만 기여금을 지급하여 70만원을 납부할 의미가 없었으나 초과금 30만원에 대해서도 3.0%의 기여금을 지급)
2) 중도해지 조건 완화
기존에는 5년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 정부기여금 해택과 비과세 해택이 없었습니다.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을 일부 지원하며, 특별중도해지 사유가 확대 되었습니다.
- 3년 이상유지 시 연 최대 7.64%의 일반 적금상품 가입효과
- 특별중도해지 사유
생애 최초 주택구입, 가입자의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 이주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, 혼인, 출산 - 부분인출 서비스 (2025년 말 예정)
2년이상 유지한 경우, 납입 원금의 40% 이내에서 부분인출 서비스
위 내용과 관련해서는 "금융위원회" 사이트에서 더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아래 링크로 접속하여 한번 더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4. 가입방법 및 절차
현재 2025년 1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1/2 ~ 1/10 까지로 이미 완료되어, 2월 가입 시기를 확인하여 신청이 필요합니다.
1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계좌 개설까지의 주요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은 "서민금융진흥원"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가입 신청이 완료되면, "가입요건 확인" 기간 중에 가입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문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이후, "적격자 전체 계좌 개설" 기간에 취급은행에서 계좌 개설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(취급은행: 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아이엠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)
부동산, 주식, ETF, 채권 등 다양한 투자 방법이 있지만 안전하면서도 해택 많은 "청년도약계좌"를 통해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. 앞으로 자신의 재무 상황과 투자 성향에 맞게 시작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'금융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새로워진 최저시급 최저임금 주휴수당 2025년 총정리 (0) | 2025.02.02 |
---|---|
카카오페이 / 네이버페이 / 서울페이 연말정산 하는 법 (0) | 2025.02.02 |
2025 연봉실수령액 월급 세전 및 세후 알아보기 (0) | 2025.02.02 |
2025년 필수 계좌, ISA 계좌 만들기 + 만기 후 전환 (0) | 2025.01.31 |
주택담보대출 조회/금리/한도 상품정보 알아보기 (1) | 2025.01.30 |
(생애최초/신혼부부) 2025년 디딤돌대출 신청자격과 한도 알아보기 A-Z (0) | 2025.01.29 |
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방법 및 신청 안내 (0) | 2025.01.28 |
미국 시민권자/영주권자 세금 신고(FBAR, FATCA, 개인소득세 Form 1040) (0) | 2025.01.28 |